최근 난리 난 생물학계가 완전히 뒤집힌 이유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 화제가 되어 각종 커뮤니티에 공유되기 시작됐다.
해당 게시글을 올린 작성자 A씨는 “최근 난리 난 생물학계가 완전히 뒤집힌 이유”라는 제목의 글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음은 펨코에 올라온 글의 전문이다.
리스트로사우루스는 고생대 페름기 후기~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전기까지 열대 지방부터 극지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번성했던 디키노돈류 단궁류입니다. 단궁류는 현생 포유류의 직계조상인 분류군으로 고생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종류입니다.
부리와 검치가 나 있어 풀뿌리 등을 캐먹고 살던 작은 돼지 크기의 초식동물로 생김새처럼 먹이사슬 하위권에 위치하던 평범한 생물이었으나. 이 친구들이 유명세를 얻게 된 데에는 다른 이유가 있었으니…
바로 페름기 대멸종이 지구를 강타한 것입니다.
페름기 대멸종은 지구 역사상 최대의 멸종 사건으로 해양 생물종의 약 96%와 육상 척추동물의 70% 이상이 절멸했으며 전체 지구 생물 중 50%의 과가 멸종하고 말았죠. 허나 육상에서 살던 동물들 대부분이 전멸해버림과 동시에 리스트로사우루스에게는 그야말로 새 시대가 열렸습니다.
무수히 많은 육상 척추동물이 멸종하였으나 리스트로사우루스만은 예외로 많은 수가 살아남아 무탈하게 번성에 성공하였습니다.
워낙 이례적인 경우라 흉부가 발달해 커다란 폐를 지녔고 비강이 짧아 빠르게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 당시의 대기에도 견딜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 땅을 파고 풀뿌리를 먹으며 생활하는 습성 때문에 기온과 대기 변화가 극심했던 당시 환경에 적응하기가 더 수월했을 것이라는 설, 그냥 운이 좋게 서식지와 먹이에 큰 타격을 받지 않아 생존했다는 설 등 왜 이 친구들이 페름기 대멸종에서 성공적으로 살아남았는지에 대한 추측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닌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라는 사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동물입니다.
point 94 |
심지어 남아프리카에선 이 친구들의 뼈로 이루어진 지층도 발견될 정도니 대단합니다.point 36 |
극한상황에서는 잘 버텼으나 살기 좋은 세상이 찾아오자 설 자리를 잃었다니 아이러니합니다.point 39 |
point 0 |
그 외에 수많은 기록을 갱신할 것으로 보입니다.point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