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아이를 낳은 산모와 그 가족에게 보육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고 아빠·엄마를 가리지 않는 육아 휴직을 적극 권장하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올해 전반기 출산율은 0.75명을 기록하며 여전히 고전하고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출산율이 오르지 이유에 대해 여러 부분을 지적하면서 ‘여성이 출산 후 회사를 관두는 ‘경력단절’에 대한 부분의 개선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A씨, 남성 전업주부가 적은 것에 대해 “사회생활보다 독박육아가 더 힘들어서 그런 것 아니냐”
이와 관련해 IT 종사자 A씨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남성이 전업주부를 안 하는 이유’를 분석한 글을 남겼으며 그는 남성들이 전업주부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사회생활보다 독박육아가 훨씬 힘들다는 반증 아닌가”라 해석했다. 그러면서 “육아가 쉽고 편하면 남성들이 먼저 주부와 육아를 선점하겠지”라 말했다.
아울러 “(남편과 아내가) 치열하게 누가 육아할지 싸웠다면 전업주부의 비율은 남녀 비율이 비슷했겠지”라며 “통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다만 글을 접한 20대 남성들은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하며 이들은 “저는 전업주부가 꿈인데요”, “결혼한 아내가 저 만큼 돈을 번다면 당장 일 그만두고 아이만 돌볼 수 있어요”, “저는 아내가 아이를 가져서 육아휴직을 했더니 와이프가 회사 복직하라고 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고 전해졌다.
남성 전업주부의 댓글 “독박육아가 너무 행복하다”
A씨의 글에 반하는 댓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 남성 누리꾼은 “독박육아가 너무 행복하다”는 장문의 댓글을 남겼다고 한다.
그는 “아내가 나보다 돈을 더 많이 벌어서 내가 집에서 육아를 담당하고 있는데 아기가 잠을 잘 안 자는 초반이 힘들 뿐 지금은 너무 편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심심하면 아기와 바람 쐬러 가고, 백화점 문화센터 갔다가 지하 푸드코트에서 간식 사 먹고 아내 퇴근 시간에 맞춰 밥하고 빨래하는데 솔직히 회사 생활보다 재밌다”고 경험담을 공유했다.
한편 지난 9월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2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약 144만 8천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재작년 대비 5만 7천 명 감소한 수치지만 여전히 전체 17.4%에 달하는 비율이다.
일을 그만둔 이유는 육아(43.2%)가 가장 높았고 그 뒤를 결혼(27.4%), 임신·출산(22.1%)등이 이었다.
여성 대신 집에서 아이를 돌보거나 살림을 하는 ‘전업주부’ 남성의 비율은 1년 전보다 30% 급증하면서 2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며 남성 전업주부와 관련한 지난해 자료에 따르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를 전담한 남성은 총 19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15만 명)보다 4만 4000명(29.5%) 늘어난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육아를 담당한 남성이 1만 1000명, 가사를 담당한 남성이 18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20대부터 60세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육아·가사를 전담하는 남성이 늘었는데 그중 30대의 육아·가사 전담 남성이 1년 전 수치보다 110.8% 증가하면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저작권자 NEWSNACK/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