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Categories: 꿀팁사람들스토리연예가소식커뮤니티핫이슈

“바람둥이는 ‘이것’을 잘 찾는다” 정확하다고 난리 난 뇌과학자가 말하는 ‘바람피는 유전자’ 특징

{"uid":"2F87F317-55B5-45CB-A225-3AE475C8242C_1627102924871","source":"other","origin":"gallery"}


바람둥이 유전자

ADVERTISEMENT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에는 tvN ‘어쩌다 어른’에 출연한 뇌과학자 김대수 교수가 말하는 ‘외도하는 유전자의 특징’ 에 대한 영상이 올라와 화제가 되고 있다.

point 6 |
tvn’어쩌다 어른’
point 78 |
tvn’어쩌다 어른’

해당 영상에 따르면 바람을 피우는 외도형 들쥐와, 가정적인 들쥐가 있었는데 과학자들은 같은 들쥐인데 왜 차이가 날까, 궁금해져 두 들쥐의 뇌를 꺼내어 비교하기 시작했다.point 222 | 1

ADVERTISEMENT
tvn’어쩌다 어른’

아래쪽에 까만 점이 있는데 이건 배쪽 창백이라는 뇌의 시상하부 특수 부위로 가정적인 쥐의 뇌에는 이 곳에 ‘바소프레신’ 수용체가 많이 발현된다.

ADVERTISEMENT

 

point 6 |
tvn’어쩌다 어른’
point 78 |
tvn’어쩌다 어른’

바소프레신은 ‘정'(情)을 만드는 데 중요한데, 이 바소프레신 신호를 받는 유전자가, 가정적인 쥐에게 많이 발현되고 있었다.point 211 | 1

ADVERTISEMENT

 

바소프레신 수용체를 외도하는 쥐의 뇌에넣는 것은 어떨지 과학자들은 또 실험을 시작했는데,  놀랍게도 외도하는 쥐가 가정적으로 변했다.

tvn’어쩌다 어른’

또 과학자들은 외도형 수컷 쥐와 가정적 수컷 쥐의 공간 학습 능력을 테스트했는데, 이 점에서도 차이가 났다.

ADVERTISEMENT

외도형 수컷 쥐가, 공간 학습 능력 즉 길찾기 능력이 월등히 뛰어났는데 이는 돌아다니며 많은 암컷을 만나야 했고, 암컷의 위치를 기억해야 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김대수 교수는 “여러분 남자친구나 남편이 공간학습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실망하지 마시라. 가정에 충실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시술은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시술이다.

ADVERTISEMENT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